본문 바로가기
공부

[기초 영문법] 문장의 5형식,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by 은been 2023. 1. 22.
반응형

1. 영어는 어떤 문장이든 5형식으로 끝이 납니다.

 

1) 5형식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이 네 가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형식 문장성분 조합
1형식 주어+동사
2형식 주어+동사+주격보어
3형식 주어+동사+목적어
4형식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5형식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

 

2) 품사는 단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질이고, 

문장 성분은 문장에서 그 단어의 역할을 의미하니 이 차이를 잘 숙지해야 합니다.

Ex) I ate apples. 여기서 apples의 품사는 명사, 문장성분은 목적어

 

c.f) 8품사: 명사, 대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기본적으로 단어의 한글 뜻을 보고 어떤 품사인지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그럼 여기서 문장성분 별로 가능한 품사를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문장성분 품사
주어 명사
동사 동사
목적어 명사
주격보어 형용사, 명사
목적격보어 형용사, 명사, 동사원형

표에 들어가지 않은 품사는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입니다.

부사/전치사/감탄사는 문장 형식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접속사는 문장을 명사나 부사로 만들어 주는 도구입니다.

(나중에 깊게 다뤄드리겠습니다!)

 

문장이 명사나 부사가 될 수 있을까요?

 

네. 무조건 ‘단어’가 문장성분 자리에 오는 것은 아닙니다.

문장성분으로 들어갈 있습니다.

 

* 그럼 ‘절’, ‘구’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Ex]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밑줄 친 부분처럼 주어와 동사가 나오고 하나의 품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이 라고 합니다. 

여기에서는 스스로를 돕는이라고 해석되며, those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Ex] To see is to believe. 

밑줄 친 부분처럼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품사 역할을 하는 것을 라고 합니다. 

여기에서는 믿는 것이라고 해석이 되어 명사 역할을 하고, 문장 성분은 보어입니다. 

(물론 to see도 명사 역할을 하고, 문장 성분은 주어입니다.)

 

 

구와 절 때문에 문장이 길어지고,

형식을 파악하기 힘들어 해석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렇지만 어떠한 문장이라도 무조건 이 5형식 중 하나기 때문에,

아무리 어려운 문장도 형식만 파악하면 간단해집니다.

계속 반복해서 형식을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2. 1형식: 주어+동사

Ex] He runs quickly.

주어는 he, 동사는 runs 입니다.

 

 

3. 2형식: 주어+ 동사+ 주격보어

Ex] Eunbeen looked beautiful under the moonlight.

주어는 Eunbeen, 동사는 looked, 주격 보어는 beautiful.


보어는 ‘보충해 주는 단어의 줄임말입니다. 

여기서 주격이 앞에 붙은 이유는 주어를 보충해주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목적격 보어는 목적어를 보충해 주는 단어라고 볼 수 있겠죠.)


주어=주격보어, 목적어=목적격 보어라고 생각해 주면 쉽습니다.

 

여기서 1형식 문장을 다시 봅시다.

run뒤에 quickly가 나오긴 합니다.

 

하지만, Eunbeen=beautiful과는 다르게 quickly=he는 아니므로

runs 을 수식해 주는 수식어라고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4. 3형식: 주어+ 동사+ 목적어

동사의 목적이 되는 것을 목적어라고 하고, ‘~을/를’로 해석됩니다. 

Ex] I love you.
나는 너를 사랑한다.’ 주어는 I, 동사는 love, 목적어는 you.

 

I believe that he didn’t tell a lie.

나는 그가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믿는다.’ 

주어는 I, 동사는believe, 목적어는 that he didn’t tell a lie.

 

5. 4형식: 주어+ 동사+ 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

Ex] He built his wife a house.
그는 그의 아내에게 집을 지어주었다.’ 

주어 He, 동사 built, 간접 목적어 his wife, 직접 목적어 a house.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모두 목적어입니다.

하지만 해석이 다르게 되는 점이 특이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에게, 직접 목적어는 ‘~로 해석하면 됩니다. 

주로 간접목적어 자리에는 사람이 오고 직접목적어 자리에는 사물이 옵니다. 

 

 

6. 5형식: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 보어

목적격 보어는 목적어를 보충해주는 문장성분입니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목적어=목적격 보어’입니다.

 

그런데 5형식이 어려운 이유는, 목적격보어가 동사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1) Her puppy makes her happy. 목적격 보어가 형용사인 경우

‘그녀의 강아지는 그녀를 행복하게 만든다.’ 주어 Her puppy, 동 사 makes, 목적어 her, 목적격 보어 happy.

 

2) She calls him the smartest guy. 목적격 보어가 명사인 경우

‘그녀는 그를 가장 똑똑한 남자아이라고 부른다.’ 주어 She, 동사 calls, 목적어 him, 목적격 보어 the smartest guy.

 

3) My mom wants me to marry. 목적격 보어가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인 경우

‘엄마는 내가 결혼하길 원한다.’ 주어 My mom, 동사 wants, 목적어 me, 목적격 보어 to marry.

*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나, 명사나 다를 바가 없죠.

 

4) They let students study. 목적격 보어가 동사원형인 경우

그들은 학생들을 공부하게 했다.’ 주어 They, 동사 let, 목적어 students, 목적격보어 study.

 

모든 경우의 수를 외울 수는 없어서, 대표적으로 중요한 동사들만 따로 외워줍니다.

1)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가 오는 동사: allow, ask, want, get, tell, etc..

*help to부정사와 동사원형 둘 다를 목적격 보어로 쓸 수 있습니다.
2)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을 취하는 동사: have, let, make(사역동사), hear, feel, watch, etc...(지각동사)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질문 주시면 대답해 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