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관계대명사란?
말만 들어도 치를 떠는 사람들이 많은데, 관계사대명사절은 앞에 나오는 명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긴 형용사라고 간단하게 생각해주세요.
마음을 내려놓고 편하게 읽어봐주세요.
우선 한국어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똑똑한 친구’
‘똑똑한‘은 형용사입니다.
‘시험 패스한 친구’
’시험 패스한‘ 또한 형용사입니다.
친구라는 명사를 꾸며주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시험 패스했다’는 문장입니다.
문장이 형용사가 돼서 명사를 수식해주는거죠.
따라서 형용사절이라고도 부릅니다.
이때 ‘친구’와 ‘시험 패스한’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단어가 바로 관계대명사입니다.
Ex] A smart friend ‘똑똑한 친구’
A friend who passed the test.
‘시험 패스한 친구’
둘 다 ‘친구’라는 명사를 꾸며줍니다.
하지만 두번째는 너무 길어서 뒤에서 꾸며줄 뿐입니다.
A friend who passed the test.
여기서 who는 관계사고, passed라는 동사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니 주어자리에 있습니다.
who passed the test 는 문장이니까 관계사 절이며, who가 가리키는건 선행사인 a friend입니다.
설명한 내용을 일반화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관계대명사는 ‘대명사’ 즉 명사입니다.
따라서 주어자리, 목적어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
소유격도 가능합니다. 다만 처음 접하시는 분이면 주격, 목적격까지만 이해하셔도 괜찮습니다.
- 관계대명사절(형용사절)이란, 관계대명사 뒤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선행사인 명사를 뒤에서 수식해줍니다.
선행사란, 말 그대로 ‘앞에 오는 단어’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관계대명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원리를 알려드리겠습니다.
2. 주격 관계대명사: who
관계대명사절에서 주어 역할을 하고 사람이 선행사입니다.
Ex] She was the one who first suggested the idea.
‘그녀는 그 의견을 가장 먼저 제안한 사람이다.’
이 문장은 원래 두 문장이었습니다.
She was the one. + She first suggested the idea.
그녀는 그 사람이다+그녀는 그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시했다.
한 문장으로 말 할 수 있는걸 두 문장으로 말하니까 없어보이죠?
첫 문장의 the one 이랑 뒤에 있는 she는 어차피 같은 사람을 지칭하므로,
she를 who로 바꿔 준 다음에 두 문장을 합칩니다.
요약하자면,
1- 주어 she를 삭제해주고
2- 관계대명사 who를 중간에 추가해줘서
3- 하나로 합치면 됩니다.
이때 없어지는 she 대신에 who가 주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3.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whom
관계 대명사 절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고 사람이 선행사입니다.
주격 관계대명사는 주어가 없어졌지만,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목적어가 없어집니다.
Ex] We easily tend to believe those who we don’t know. ‘우리는 모르는 사람을 쉽게 믿는 경향이 있다.’
이 문장도 원래는 두 문장이었습니다.
We easily tend to believe people.+We don’t know them.
우리는 사람들을 쉽게 믿는 경향이 있다+우리는 그들을 모른다.
마찬가지로, 두 문장으로 나눠 말하니까 조금 모자라 보입니다.
앞의 people과 뒤의 them의 의미가 겹치므로 하나로 합쳐야 합니다.
요약하자면,
1- 목적어 them을 삭제해주고
2- 관계대명사를 중간에 추가해줘서
3- 하나로 합치면 됩니다.
근데 중요한 건 목적격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 We easily tend to believe those we don’t know.
이렇게도 쓸 수 있다는거죠.
4.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관계 대명사 절에서 소유격 역할을 하고 사람/사물이 선행사입니다.
Ex] That’s the woman whose picture was in today’s newspaper.
‘저 사람이 오늘 신문에 사진이 실린 여자다.’
이 문장도 원래 두 문장이었습니다.
That’s the woman. + Her picture was in today’s newspaper.
저 여자야+그녀의 사진이 오늘 뉴스에 실렸어.
Her은 소유격입니다. 그런데 앞에 the woman과 내용이 중복되므로, 붙여서 써줄때 whose로 바뀌어서 써줍니다.
5. 주격/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Which는 사람 이외의 것을 선행사로 두고 주격, 목적격에 써주는 관계대명사입니다.
Ex] Most people like stories which have happy endings. –주격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하게 끝나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Which have happy endings.가 앞의 stories라는 사람이 아닌 선행사를 꾸며줍니다.
6. 관계대명사 That
That은 who, whom, which 대신 써줄 수 있는 마법같은 존재입니다.
다만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우선 하나만 소개해드리자면, 전치사 뒤에는 나올 수 없습니다. Ex] The man to whom I spoke was a bit rude.
’내가 말을 건 남자는 약간 퉁명스러웠다.‘
to whom은 가능하지만, to that은 안됩니다.
7. 접속사 that VS 관계사 that
접속사 공부하다가 that을 보신 적이 있으실겁니다.
접속사 that과 관계사 that을 구분하실 줄 알아야합니다.
접속사 that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말 그대로 that이 ‘접속’한 거니까 문장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완전한 문장 앞에 접속사 that이 와서 문장이 명사 역할을 하는 것일 뿐이니까요.
반면 관계대명사 that은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올 수 밖에 없습니다.
관계대명사절에는 주어가 없든지 목적어가 없든지 하기 때문입니다.
Ex] I expect that you will finish the work in time.
‘나는 네가 시간 내에 그 일을 끝낼 거라고 기대한다.’
이 문장에서 that 뒤에 나오는 you will finish the work in time.은 완전한 문장입니다. 그럼 이때 that은 접속사 입니다.
반면,
Ex] I saw a woman that was carrying a puppy in her pulse.
‘나는 강아지를 핸드백에 넣고 가는 여자를 봤다.‘
That 뒤에 바로 동사가 옵니다. 그럼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므로, that이 주어로 대신 쓰여진 주격 관계대명사절로 보면 됩니다.
8.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
선행사를 굳이 써주지 않아도 유추 가능할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 the thing(s) that 으로 바꿔 쓸 수도 있습니다.
Ex] Few people appreciate what they already have.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감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여기서 what they already have는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이라는 의미로, 목적어, 즉 명사로 쓰였습니다.
다른 관계대명사들은 앞에 명사를 수식해주는 형용사절 역할을 하지만, What은 선행사인 명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what이 이끄는 절은 주어, 보어,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입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3.둘째주] 대표뉴스/트렌드 (1) | 2023.03.13 |
---|---|
[2023.03.첫째주] 대표뉴스/트렌드 (1) | 2023.03.04 |
[기초 영문법] 접속사,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3) | 2023.03.04 |
[기초 영문법] To 부정사,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2) | 2023.01.26 |
[기초 영문법] 수동태,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0)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