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접속사란?
1) 정의: 접속사란 문장과 문장 또는 문장 가운데 두 문장 성분들을 이어주는 단어입니다.
2) 종류: 등위접속사, 상관접속사,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3) 역할: 각 접속사마다 하는 역할이 다릅니다.
'등위/상관 접속사'는 '연결한다'는 의미가 크고,
'~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문장을 명사/부사의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배울 때는 쉽지만, 막상 깊은 의미까지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접속사...
등위, 상관, ~절을 이끄는 등의 어려운 단어에 현혹되어 포기하지 말고
예문과 함께 접속사 그 자체를 받아들이면 조금 괜찮아집니다.
2. 등위접속사
등위 접속사는 단어, 구, 절 등을 모두 대등하게 연결하는 접속사입니다.
and, but, or, so, for, nor, yet 자주 들어보셨죠?
네 바로 그 흔한 단어입니다.
여기서 for은 '그 까닭은', nor 은 '~도 아 닌', yet은 '아직'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을 들어보겠습니다.
Ex] Do you want me to leave me or (to) stay? '너는 내가 떠나 길 바라니, 머무르길 바라니?'
Ex] I want to stay home, for I have a headache. '나는 머리가 아파서 집에서 쉬고 싶어.'
등위 접속사나 상관 접속사는 단어, 구, 절 등 문법적으로 같은 역할을 하는 것들을 연결합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to 부정사, 형용사, 시제 등의 문장성분도 일치시켜야 합니다. 꼭.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It is delicious and an apple.
'그건 맛있고 사과다.'
형용사 delicious와 명사 an apple이 and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한국어로 하면 말이 되는 것 같나요? 이상하죠. 영어도 마찬가지입니다.
명사 and 명사, 형용사 and 형용사, 이렇게 같은 것들만 가능합니다.
3. 상관접속사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어구가 접속사 역할을 하는 것을 '상관'있다고 해서 상관접속사 라고 합니다.
어려운 단어 같지만, 막상 들여다보면 외울 것 밖에 없습니다.
주로 '수 일치' 문제로 많이 나오는데, '수 일치'의 의미는
'주어가 3인칭+단수 일 때 동사에 's'가 붙고, 아닌 경우에는 그냥 쓴다.'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동사 형태가 달라지므로 '수'일치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 Both A and B ‘A와 B 둘 다’
Ex] Both Alice and Emily like to watch a movie.
Alice와 Emily는 둘 다 영화를 보는 걸 좋아해.
이 경우에는 '둘 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동사는 항상 복수 형태로 써줍니다.
동사가 likes가 아니죠?
- Either A or B ‘A와 B 둘 중 하나’
Ex] Michael decided either to watch TV or to listen to the music.
'Michael은 TV를 보거나 음악을 듣기로 결정했다.'
- Neither A nor B ‘A와 B 둘 다 아니다’
Ex] Eunbeen neither sings nor dances very well.
'은빈이는 노래도 잘 못하고 춤도 잘 못 춘다.'
Either, Neither의 경우에는 동사와 가까운 대상에 수를 일치시켜 줍니다.
Ex] Either Eunbeen or her parents clean the bathroom.
'은빈이 혹은 그녀의 부모님이 욕실을 청소한다.'
her parents가 동사 clean과 가까이 있고,
부모님은 복수 명사이므로 clean에 s가 붙지 않았습니다.
- Not only A but also B=B as well as A 'A뿐만 아니라 B도'
Ex] Not only David but also his children look forward to his vacation.
=David’s children as well as David look forward to his vacation.
'David뿐만이 아니라 그의 아이들도 그의 휴가를 기대한다.'
이때는 항상 B에 수를 일치시켜줘야 합니다.
as well as일 때는 A와 B의 순서가 바뀌니 유의해 주세요.
4.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문장 앞에 that, whether/if가 붙으면 문장이 명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즉, 명사 자리에 문장을 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명사가 올 수 있는 자리는 주어, 보어, 목적어입니다.
- That은 ‘~하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Ex] That he is falling in love with her is true. '그가 그녀와 사랑에 빠진 것은 사실이다.'
That he is falling in love with her, 즉 '그가 그녀와 사랑에 빠진 것'이 주어입니다.
그 뒤에 나오는 is가 동사입니다.
he is falling in love with her은 '주어, 동사가 오는 하나의 문장'인데
앞에 that이 오면서 주어가 된 거죠.
to부정사 때처럼 that이 주어 자리에 오면 가주어/진주어도 쓸 수 있습니다.
-> It is true that he is falling in love with her.
가주어 it을 앞에 쓰고, 진주어 'that he is falling in love with her.' 을 뒤로 밀어냈습니다.
목적어 절을 이끄는 that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I know (that) you lied.
'나는 네가 거짓말한 것을 알아.'
'네가 거짓말한 것'이 목적어입니다. 뒤에 을/를이 붙었으니까요.
그때 that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 Whether/if는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로, 역시나 명사 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
Ex] I wonder whether Emily will come. = I wonder if Emily will come.
'나는 Emily가 올지 안 올지 궁금해.'
여기서 Emily will come.이라는 문장에 whether이 붙어서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If는 주어절을 이끌지 못합니다.
5.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부사절은 문장에서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즉, 아래의 접속사들이 문장 앞에 붙으면 그 문장은 부사가 되는 거죠.
- 시간: when, while, before, after, until, since, as, as soon as
Ex] As soon as I came home, I washed my hands.
'나는 집에 오자마자 손을 씻었다.'
As soon as I came home은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 이유: because, as, since, now (that)
Ex] Now (that) it’s vacation, I’ll do something I want to do.
'이제 방학이니까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거야.'
Now (that) it’s vacation은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 목적: so (that)~can, in order that
Ex] She drank a glass of warm milk tea so that she could fall asleep easily.
'그녀는 쉽게 잠들 수 있도록 따듯한 밀크티 한 잔을 마셨다.'
so that she could fall asleep easily은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 양보: even though, although, though, even if ‘비록 ~임에도 불구하고’
Ex] Even though the weather is horrible, we went for a walk.
'날씨가 매우 좋지 않았음에도 우리는 산책하러 나갔다.'
Even though the weather is horrible은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 대조: While, whereas ‘반면에’
Ex] Emma is short while Alice is tall.
'Emma는 키가 작은 반면에 Alice는 키가 크다.'
while Alice is tall은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 조건: If 만약 ~ 한다면, unless 만약 ~이 아니라면, as long as ~ 하는 한, in case ~일 경우에 대비하여
Ex] If it rains tomorrow, I will cancel my trip.
'만약 내일 비가 오면 내 여행을 취소할 거야.'
If it rains tomorrow는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Ex] I’ll give you my phone number in case you need my help.
'내 도움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해서 내 전화번호를 줄게.'
in case you need my help는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 결과: such 형+명 that~, so 형/부 that~ 너무 ...해서 그 결과 ~하다.
such~that, so~that 구문은 많이들 어려워하곤 합니다.
하지만 차근히 분석해 보면 어려울 것도 없습니다.
우선 such~that 구문부터 예문을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Ex] He has such a nice car (that) his friends are jealous.
'그는 멋있는 차를 가지고 있어서 친구들이 그를 부러워해.'
여기선 (that) his friends are jealous.이 부사 역할을 하는데,
such와 함께 자주 쓰여서 같이 외우는 것입니다.
such 원인 that 결과 정도로 생각해 주시면 쉽습니다.
여기서는 nice car가 원인, 그 결과는 친구들이 부러워하는 것 정도로 봐주시면 되겠죠.
so~that 구문도 마찬가지입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구문과 헷갈리지 마세요!)
Ex] I was so upset that I went outside.
'나는 너무 화나서 밖으로 나갔다.'
upset이 원인, 결과가 I went outside입니다.
요약하자면, so나 such 뒤에 원인 쓰시고, that 뒤에 결과를 써 주세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3.첫째주] 대표뉴스/트렌드 (1) | 2023.03.04 |
---|---|
[기초 영문법] 관계대명사,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0) | 2023.03.04 |
[기초 영문법] To 부정사,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2) | 2023.01.26 |
[기초 영문법] 수동태,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0) | 2023.01.25 |
[기초 영문법] 문장의 5형식, 누구보다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0) | 2023.01.22 |
댓글